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Tags
- 구세군대전중앙영문
- 김종구사관
- 여성퍼레이드
- 자원봉사
- 헌아식
- 구세군사관학교
- 구세군마포영문
- 구세군충청지방
- 구세군여성대회
- 강봉구사관
- 짐바브웨
- 구세군자선냄비
- 박병규사관
- 구세군원주영문
- 구세군서해지방
- 구세군부여교회
- 서해지방
- 김환기사관
- 김계숙사관
- 이재습사관
- 성경세미나
- 대전중앙영문
- 구세군연무대영문
- 태안영문
- 병사입대식
- 마포영문
- 김만오사관
- 노성우사관
- 구세군
- 자선냄비
Archives
- Today
- Total
분꽃향기
[스크랩] Uniform 본문
History of the uniform
Bonnets
구세군의 군대식 조직은 구세군인들의 유니폼으로 확연히 드러납니다. 구세군 사관, 병사들은 유니폼을
입음으로써 자신의 신앙을 눈에 보이는 방법으로 표현하고, 확연히 구분되는 복장으로 인해 도움이 필요한 사람을 도울 수 있는
기회를 얻기도 합니다.
유니폼은 계속해서 그 형태가 바뀌어 왔습니다. 기독교 선교의 첫 복음 전도자들은 성직자 코트와 높은 모자, 검은 타이의 정장차림이었고 여성 들은 간소한 드레스와 퀘이커 교도식의 작은 모자를 썼습니다. 1878년 ‘기독교선교회’가 ‘구세군’으로 바뀜에 따라, 군대식의 유니폼이 채택 되어져야 한다는 것에 의견이 모아졌고, 유니폼은 빅토리아 시대 군대의 복장을 모델로 하였습니다.
구세군 최초의 ‘정위’가 된 엘리야 카드먼(Elijah Cadman)은 전직 굴뚝
청소부였는데, 그는 초기 회당에서 ‘모든 이들이 내가 철저하게 세상 구원을 위하여 싸우는 사람임을 알 수 있도록
유니폼을 착용하고 싶다’라고 말하며 사람들을 설득하였습니다. 그는 후에 군복 스타일의
유니폼을 입게 되도록 영향력을 끼친 사람으로 기억되고 있습니다.
현재의 구세군 유니폼은 수년간에 걸쳐 발전하여 온 것입니다. 구세군은 동시대의 감각을 반영하기 위하여 유니폼 스타일을 계속해서 검토하고 있습니다. 또한 각 나라 기후와 상황에 맞게, 국제적으로 다양한 형태의 유니폼을 착용하고 있습니다.
출처 : 구세군 대한본영
글쓴이 : 사랑나누미 원글보기
메모 :
'구세군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2006년 건전생활 캠페인 실시 (0) | 2006.05.21 |
---|---|
[스크랩] 구세군~ (0) | 2006.05.21 |
[스크랩] Red Shield (0) | 2006.05.21 |
[스크랩] Flag (0) | 2006.05.21 |
[스크랩] The Crest (0) | 2006.05.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