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꽃향기

구세군- 한국전쟁 후 이야기(펌-한국구세군 공식 블로그) 본문

구세군 이야기

구세군- 한국전쟁 후 이야기(펌-한국구세군 공식 블로그)

분꽃향기 2015. 2. 5. 17:59

 

오늘은 구세군의 ‘2부 - 전쟁 후 이야기(1954~1957년)’를 시작으로 당시 구세군이 하였던 역할에 대해 소개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1) 1954년 - 봉사와 재건 Ⅰ

 

1954년은 한국전쟁으로 인해 파괴되고 유린된 것들을 재건하는 한 해로 기억될 것입니다. 서울의 군국본영이 재정비되었고 시설과 영문들은 수리를 하거나 재건되었으며 임명과 조직을 외관상 다시 정리하였습니다. 새로운 어린이집 2개소가 세워졌고 급식소가 군국 도처의 영문에 조직되었습니다. 서울에 있는 특별한 급식장소는 한 달 동안 무료로 만 명에게 따뜻한 음식을 제공하였습니다.

 

▷ 자선냄비 모금운동

12월 20~30일까지 서울지역 6개소에서 구세군 자선냄비 운동으로 182,434환이 모금되었습니다.

 

▷ 사회사업시설

후생학원(3), 혜천원(2), 여자관, 청학관, 레드실드클럽

- 1954년도 -

① 구세군 대한본영

② 구세군 사관들의 급식봉사모습

③ 구세군 구호물자 전달 (함태영 부통령 - 오른쪽)

2) 1955년 - 봉사와 재건 Ⅱ

 

1955년은 한국구세군이 성장하는데 커다란 한 획을 그었습니다. 만국구세군의 자립기금, 국제연합 한국 재건협회, 기근구제를 위한 옥스퍼드 위원회(영국), 영국연합국협회, 그리고 한국 육군 본부에서 한국 구세군의 재건을 위한 기금들을 마련해주어 전쟁으로 인한 파괴된 건물들을 다시 짓거나 수리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또한 영동병원의 장비 재건을 위해 특별 보조금이 유엔한국재건단과 미한국기금에서 보조되어 봉사영역을 확장시켜 나갔습니다.

 

▷ 자선냄비 모금운동

12월 18일(주)~30(금)까지 실시한 구세군 자선냄비운동에서 230,252환을 모금하였습니다.

▷ 사회사업시설

후생학원(3), 혜천원(2), 여자관, 청학관, 레드실드클럽, 급식소(2)


 

- 1955년도 -

① 구호물자분배 기념식

② 국제연합한국재건단의 양곡 전달


3) 1956년 - 봉사와 재건 Ⅲ

위도선 사령관이 한국 자원봉사자 기관협의회 의장으로 선출되었습니다. 그 기관은 가톨릭, 개신교, 비종교단체, 한미재단, 미국원조물자발송협회(C.A.R.E) 등 국제적으로 잘 알려진 단체들이 포함되어 있었는데 구세군이 사회사업에서 지속적인 봉사와 국제적인 복지를 향해 나가려는데 도움이 되었습니다. 구세군은 사회사업 중앙 봉사회관을 개관하고 구 본영을 청학관, 급식사업소, 물품판매장으로 리모델링 하였는데, 이 사업을 위하여 인크라에서 9,000달러를 기부하였습니다.

▷ 자선냄비 모금운동

내용 없음

 

▷ 사회사업시설

후생학원(3), 혜천원(2), 여자관, 청학관, 레드실드클럽, 급식소(3), 양로원

 

 

 

​- 1956년도 -

① 대전 구세군 혜생원

② 대전 구세군 혜생원

③ 대전 구세군 혜생원

4) 1957년 - 사회문제에 대한 대처

 

대부분의 주요 재건사역이 끝나가고 있었지만 고통스러운 해를 직접적으로 경험했기에 두 가지 기본적인 사회문제가 발생하였습니다. 그것은 바로 집 없는 노인들과 고아들이었습니다. 구세군은 기근 구제를 위해 영국 옥스퍼드 위원회의 기금을 지원받아 우리를 찾아오는 아이들에게 음식을 제공하기 위해 5개의 건물을 세웠으며 집 없는 노인들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서울에 집중 구락부를 세웠습니다. 시설에서 돌볼 수 없는 많은 사람들을 위해 7개의 구세군 급식소에서 5,000명 이상의 아이들과 노인들에게 음식을 제공하였습니다.

 

자선냄비 모금운동

12월 19일(목)~30(월)까지 실시한 구세군 자선냄비운동은 서울지역 7개소에서 모금운동이 전개되었으며 226,362환이 모금되었습니다.



▷ 사회사업시설

후생학원(3), 혜천원(2), 여자관(2), 청학관(2), 레드실드클럽, 급식소(8), 이동급식차량, 노인의집

 

- 1957년도 -

① 구세군의 구호품 전달식

② 자선냄비 기부

지금까지 구세군의 ‘전쟁 중 이야기(1950~1953년)’에서부터 ‘전쟁 후 이야기(1954~1957년)’까지 했던 역할에 대해 전반적으로 소개해드렸습니다. 위와 같이 구세군은 6·25전쟁으로 인해 고통과 슬픔, 가난에 지쳐있던 한국사회에 따뜻한 불빛을 비추는 역할을 하였는데요. 앞으로 구세군에 대해 더 많은 관심 가져주시면 대단히 고맙겠습니다. 부족한 내용에도 읽어주신 점 대단히 감사합니다.

 

언제 어디서나 여러분의 곁에 구세군이 함께하겠습니다.

 

 

 

구세군의 역사도 어느덧 100년이 흘러가고 있습니다.

오랜 기간 동안 곳곳에 수많은 사회복지시설을 운영하여 오면서 어려움도 많았지만

후원자님들의 정성 가득한 나눔이 있었기에 ‘세상 가장 낮은 곳에 있는 이웃과 함께’ 하면서
사랑을 전달할 수 있었습니다.

후원자님들의 나눔 실천에 정말로 감사드립니다.
 
여러분들도 구세군의 후원에 관심이 생기셨다면

정성 가득한 손길로 마음을 채워주세요.

행복이 가득해집니다.



♥♡ The 가득 채움, The 가득 행복  

▷ The 기부천사 되어주기

http://www.salvationarmy.or.kr/sponsorship/

 

 

한국구세군 후원자부​

인턴 고재박

▶ 내용 출처

한국 구세군 100년사(1908 ~2008), 김준철 저, 구세군출판부

사진 출처

 

* 1954년도 사진 *

http://www.cportal.co.kr/index.php?mid=dic&page=669&document_srl=25246

http://christmaskettle.tistory.com/2

http://www.cportal.co.kr/index.php?mid=dic&page=669&document_srl=25260

 

* 1955년도 사진 *

http://theme.archives.go.kr/next/pages/viewer/archiveViewer.jsp?archiveEventId=0049293973&singleData=Y

http://theme.archives.go.kr/next/pages/viewer/archiveViewer.jsp?archiveEventId=0051146084&singleData=Y

 

* 1956년도 사진 *

http://www.goodmorningcc.com/news/articleView.html?idxno=23903

 

* 1957년도 사진 *

http://opengov.seoul.go.kr/seoul/410478

http://christmaskettle.tistory.com/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