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꽃향기

구세군-한국전쟁 중 이야기(펌-한국 구세군 공식블로그) 본문

구세군 이야기

구세군-한국전쟁 중 이야기(펌-한국 구세군 공식블로그)

분꽃향기 2015. 2. 4. 14:47

그 때 그 시절, 굳세게 살아온 우리들의 이야기를 담은 ‘국제시장’이 연일 극장에서 돌풍을 일으키고 있습니다. 영화를 보신 분들은 아시겠지만 국제시장은 1950년 6월 25일 한국전쟁이 발발했던 때를 주요 배경으로 하고 있습니다.

 

▶ 알아보기 「6·25한국전쟁은요?」

 

(전쟁기간 : 1950년 6월 25일 ~ 1953년 7월 27일)

1945년 8월 일제로부터 해방된 북쪽에 소련군이 진주하여 공산정권을 수립하고 인민군을 창설하였습니다. 소련제 무기로 무장한 북한공산군은 1950년 6월 25일 새벽 38선을 넘어 거침없이 공격하여 3일 만에 서울을 점령하고 이어 3개월 만에 대구, 부산지역 등 남부지역 일부를 제외한 한국의 전 지역을 장악하였습니다. 당시 거주 인구가 20만 밖에 안 되던 임시수도인 부산은 몰려든 피난민으로 갑자기 인구가 2백만으로 불어나게 되었습니다.

 


 

- 6·25 한국전쟁 -

① 1.4 후퇴 피난행렬

② 1.4 후퇴 피난행렬

피난민들 (1951년)

완전 폐허가 되어버린 서울시가와 난민들 (1950년 9월 28일 서울수복 당시)

⑤ 학교 운동장에서 수업받는 아이들(1950년 10월 서울 근교)

전쟁고아 (1950년 9월 28일)

이 얘길 꺼낸 이유는요. 이러한 전쟁 상황에서 한국구세군은 본영을 부산으로 옮기고 세계구세군과 연계해 부산으로 몰려있던 피난민들을 위한 급식사업, 구호사업 등을 활발하게 전개하였기 때문입니다. 전쟁 후에는 서울로 복귀하면서 외국단체들의 도움을 받아 본격적인 전쟁난민 구제 사업으로 전쟁고아와 극빈자들을 돌보았습니다.

그럼, 지금부터 구세군의 1부 - 전쟁 중 이야기(1950~1953년)’를 시작으로 당시 구세군이 하였던 역할을 소개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1) 1950년 - 로오드 사령관의 보고서

아래의 내용은 「한국구세군 100년사 - 제5부 짧은 희망과 한국전쟁」 서적에 적혀있는 로오드 사령관이 쓴 보고서(412페이지) 내용을 인용한 것입니다. 1950년 5월 한국구세군의 사회사업시설에서 행해졌던 모습들을 한눈에 알 수가 있습니다.

구세군의 사회사업시설에는 240명의 소년들과 62명의 소녀들 그리고 49명의 여성들과 아이들을 보호하고 있었습니다. 한국인들뿐만 많은 중국인, 자바인 샴 여성들까지도 시설을 찾았으며, 시설에서는 양말제조기계가 새로 도입되었고, 양복제조 기술도 발전하였고 몇몇 소년들은 특별한 수업을 위해 과학 영농학교에 보내졌습니다. 거리의 아이들을 위해 대통령이 준 조립주택(The Quonset Hunts : 벽과 지붕이 반원형으로 연이어진 숙소, 임시막사)은 겨울을 맞아 노숙자와 수 백 명의 거리아이들과 소녀들에게 제공되었으며 그곳에서 따뜻한 음식과 잠자리를 제공받았습니다. 가장 나이어린 40명의 가난한 아이들은 후생학원과 혜천원으로 보내졌고, 그들 중 15명에게는 공동생활에 중요한 양성 폐결핵 치료를 위해 엑스레이 검진을 하였습니다. 시골 진료사업을 병원에서 멀리 떨어진 마을에 사는 환자들에게 의사와 간호사가 약을 가져와서 진료하는 사업을 시작했습니다.

 

▷ 자선냄비 모금운동

12월 21(월)~30(수) 동안에는 전쟁 중에 서울지역 5개소에서 구세군 자선냄비 모금운동이 전개되어 66,887환이 모금되었습니다.

 

▷ 사회사업시설 

후생학원, 천원, 여자관



 

- 1950년 -

① 구세군 로오드 사령관

② 여자실업관생들

③ 서울 여자부양소(여자관 전신)

③ 여자실업관(혜천원 전신)

 

2) 1951년 - 피난 본영 설립과 사업의 정비

구세군의 사역이 날로 발전되어 가는 가운데 전쟁이 일어났습니다. 전혀 예상치 못했지만 1950년 6월의 마지막 주에 서울이 공산군에 완전히 함락 당했습니다. 이 때 많은 선교사들이 피난을 갔으며 로오드 사령관이 피랍되었습니다. 군국 사령관이 공석인 관계로 당시 서기장관으로 있던 황종률 정령이 구세군의 사업을 맡게 되었습니다. 임시본영이 한국의 가장 남쪽에 위치한 항구인 부산에 설립되었고, 후생학원의 원생들은 제주도로 신속히 피난하였으며, 우리가 보호하고 있던 혜천원의 소녀들은 대구로 보내졌습니다. 많은 사관들과 직원들 여러 곳으로 흩어져 그곳에서 피난민들을 방문하고 가로전도와 실내예배를 인도하였습니다. 지역의 유지들은 군인들로부터 영동병원을 인계받아 사관들이 관리자가 되어 병원을 운영하였습니다.

▷ 자선냄비 모금운동

내용 없음

 

▷ 사회사업시설

후생학원, 혜천원, 여자관

 


- 1951년도 -
① 부산 피난시절의 총회임원 (황종률 구세군 서기장관 - 앞줄 중앙)
② 제주 구세군 후생학원
③ 구세군 영동병원

3) 1952년 - 고난 중에도 사회사업에 노력

후생학원은 여전히 제주도에 있었으며 서울로 돌아가기에는 불가능하였습니다. 또한 혜천원도 계속해서 대구에서 운영되었습니다. 지방에서는 영혼구원을 위한 전도 캠페인이 시작되어 만족할만한 결과를 나타내었으며 많은 새로운 영문들이 전쟁으로 폐허가 된 장소에 새로이 세워졌습니다. 구세군이 운영을 하게 된 영동병원은 아직은 전면적인 운영계획이 준비되지 못하여 병원을 찾는 많은 환자들에게 완전한 의료혜택을 주지 못했지만 임시로 응급처치를 통한 고통완화 서비스를 제공하였습니다. 가능한 한 먼 곳까지 구제사역을 실시하여 수 만 명의 노숙자와 빈곤한 사람들에게 도움을 주려 했으며, 물가는 천정부지로 치솟아 쌀을 구하기가 힘들었지만 거리에서 배회하는 많은 국민들에게 구제소를 통하여 먹을 것을 확보해주기 위해 노력했습니다.

▷ 자선냄비 모금운동

12월 25일 서기장관 황종률 정령은 부산시로부터 기부금품모집 승인을 받아 12월 26일(금)~31(수)까지 (주일 제외) 부산 피난 중에서도 자선냄비를 개설하여 1,643,900환을 모금하였고 어려운 동포를 도왔습니다. 설치장소는 부민관 옆, 우체국, 남포동 등 3곳이었고, 오전 10시부터 오후 4시까지 90명의 사관들이 자선냄비를 담당하였습니다.

▷ 사회사업시설

후생학원, 혜천원, 여자관

 

- 1952년도 -

① 제주 구세군 후생학원

② 제주 구세군 후생학원

③ 제주 구세군 후생학원

 

4) 1953년 - 위도선 사령관 임명과 회복 준비

구세군 사령관 로오드 참장이 6.25 사변에 납치를 당했고, 선교사관이 없이 황종률 정령께서 주관하여 오던 중, 만국본영으로부터 사령관 위도선 정령임명되었습니다. 1953년 3월 전쟁 중에 정간되었던 구세공보가 속간되었고, 부산의 임시 본영에서는 빠른 시일 내에 서울로 돌아가기 위한 준비가 한창이었습니다. 본영빌딩을 수리하고 손실된 부분들을 정비하고 있었으며 구세군기가 다시 한 번 휘날리고 있었습니다. 새로운 군국지도자들의 도착으로 어려움에 처해있던 구원사역과 사회사업시설운영 재개를 위해 활발한 준비를 하고 있었습니다. 전쟁으로 생겨난 고아들을 위한 새로운 집과 50병상의 영동병원 보수가 행해져 우리의 사업에 활기를 띄고 있었습니다. 가난하고 빈곤한 자들을 돕기 위한 구제센터들이 각 지방본영에서 문을 열었습니다.

▷ 자선냄비 모금운동

내용 없음

▷ 사회사업시설

후생학원(3), 혜천원(2), 여자관, 청소년 쉼터, 어린이 일일 숙박소, 병원 영동

​ 

 


 

 

- 1953년도 -

① 구세군 위도선 사령관

② 제주 구세군 후생학원

③ 제주 구세군 후생학원

④ 제주 구세군 후생학원

⑤ 제주 구세군 후생학원

 

2부에서는 한국전쟁 후에 구세군이 펼쳤던 ‘피난민 구호사업’에 대해 소개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언제 어디서나 여러분의 곁에 구세군이 함께하겠습니다.

 

 

 

구세군의 역사도 어느덧 100년이 흘러가고 있습니다.

오랜 기간 동안 곳곳에 수많은 사회복지시설을 운영하여 오면서 어려움도 많았지만

후원자님들의 정성 가득한 나눔이 있었기에 ‘세상 가장 낮은 곳에 있는 이웃과 함께’ 하면서
사랑을 전달할 수 있었습니다.

후원자님들의 나눔 실천에 정말로 감사드립니다.
 
여러분들도 구세군의 후원에 관심이 생기셨다면

정성 가득한 손길로 마음을 채워주세요.

행복이 가득해집니다.​

♥♡ The 가득 채움, The 가득 행복 ♡♥ 

▷ The 기부천사 되어주기

http://www.salvationarmy.or.kr/sponsorship/

 

  

한국구세군 후원자부​

인턴 고재박

▶ 내용 출처

한국 구세군 100년사(1908 ~2008), 김준철 저, 구세군출판부

사진 출처

* 영화 <국제시장> 포스터 *

http://movie.naver.com/movie/bi/mi/basic.nhn?code=102875

 

* 6·25 한국전쟁 사진 *

http://m.blog.daum.net/bangyang/1214

http://blog.daum.net/_blog/BlogTypeView.do?blogid=03aXq&articleno=15850951

http://blog.joins.com/media/folderlistslide.asp?uid=kckohkoh&folder=21&list_id=8185777

* 1950년도 사진​ *

http://salvationarmy.or.kr/x-mas/commander.htm

http://www.cportal.co.kr/index.php?mid=dic&page=669&document_srl=25248

http://www.cportal.co.kr/index.php?mid=dic&page=669&document_srl=25252

http://www.cportal.co.kr/index.php?mid=dic&page=669&document_srl=25250

 

* 1951년도 사진 *

http://www.coolblog.kr/447

http://www.cportal.co.kr/index.php?mid=dic&page=669&document_srl=25266

 

* 1952년도 사진 *

http://www.coolblog.kr/4

http://www.coolblog.kr/447

 

* 1953년도 사진 *

http://salvationarmy.or.kr/x-mas/commander.htm

http://www.coolblog.kr/447